[네트워크] 망사용료가 먼데 .. 도대체 왜 나 빼고 다 알아?
목차0. 개요
1. 뭔 일인데 ..?
2. 망 사용료가 뭔 뜻이여?
3. 망에 접속한다는게 먼 소리여?
4. 학술인 커뮤니티..? 지금 인터넷은 아닌 거 같은디?
5. 아니 망 중립성이 강제가 아니였어 ?
6. 근데 왜 돈을 내라고해?
7. 이 문제를 기술적으로 풀려면 어떻게 해야할까?
0. 개요
사실 나는 세상 돌아가는거에 크게 관심이 없는 편이다. 그러다 보니 트위치가 그렇게 영향력 있는 플랫폼인지도 몰랐어서 철수한다는 이슈에 대해 주변 사람들이 얘기할 때도 딱히 감흥이 없었다. 근데 ..
이게 왠 걸 침착맨이 방송하는 곳이 트위치였지 않은가 .. 다시 보니 대~단한 플랫폼이었고 그제서야 철수 원인이었던 "망사용료" 라는 주제에 눈에 보였다. 사실 이번 주 기술 블로깅 주제를 뭘 할까 고민중이었는데, 딱 적절해 보이기도 해서 선정했다.
1. 뭔 일인데 ..?
1. 결론만 말하면 ..망사용료 과도해 [트위치(CP: Contents Service Provider)]
VS
너가 경영을 못한거야! [국내 통신사(ISP: Internet Service Provider)]
라는 두 이해 당사자간의 이권 충돌 과정에서 트위치가 망사용료를 감당 못하고 국내 사업을 철수하기로 했다는 내용이다. 그래서 이 이슈에 대해 분석을 하려 하는데 어느쪽 의견이 옳은지 라던가 사회적으로 어떤 반향을 일으킬지 등의 고민은 사실 복합적인 관점에서의 분석이 필요한 일이기도 하고 내 전문 분야도 아니기에 최대한 "기술적인" 부분에 초점을 맞춰 이번 이슈에 대한 내 생각을 정리해보려 한다.
2. 망 사용료가 뭔 뜻이여?
1. 망사용료?콘텐츠 공급자(CP)가 인터넷 서비스 제공 사업자(ISP)에게 망 이용을 위해 지불해야 하는 금액
사실 망사용료 라는게 정확히 뭘 의미하는지는 잘 모르겠다. 왜냐하면 망사용료 라는게 아직 이렇다할 일관적인 기준이 있는 것도 아니고 특약 개념으로 어렴풋이 유지되고 있는, 그러니까 이제 막 논의되고 있는 개념이기 때문이다. 그래서 그냥 추상적으로 "아~ ISP한테 CP가 망 이용료 개념으로 상황에 맞게 대충 특약 하는거구나!"정도로 생각하고 있다.
3. 망에 접속한다는게 먼 소리여?
1. 망에 접속한다는 것사실 "망"이라는 것은 커뮤니티다.이번 이슈를 이해하려면 망 접속에 대해 이해하는게 먼저일 거 같아서 그 근본을 찾아가보려고 한다. 태초에 '망' 이라는 것, 특히 지금 우리가 사용하고 있는 인터넷이라는 '망'의 근본은 "학술인들의 커뮤니티"였다.
이 시기에 망 중에서 지금 인터넷의 전신인 '알파넷'이라는 망이 있었는데, 미국 국방성 산하의 고등연구계획국(ARPA)에 의해 개발되어 UCLA에 컴퓨터 과학부서에 초기 개발과 시험 운영 용도로 설치됐다. 그 때부터 스탠포드를 시작으로 미국 내 여러 대학들이 이 알파넷에 연결되면서 "연구자료 공유, 소스 코드 공유"등의 용도로 사용되었다. 결론은 "저 커뮤니티에서 소통할 수 있는 상태가 되는 것"이 망에 접속한다고 보면 될 거 같다.
4. 학술인 커뮤니티..? 지금 인터넷은 아닌 거 같은디?
기존에 학술 커뮤니티 용도로 사용되던 알파넷은 "TCP/IP 프로토콜 도입", "WWW의 출현", "ISP의 등장"등의 이유로 오늘날의 '인터넷'으로 진화하게 됐다. 여기서 이번 이슈와 관련된 맥락이 등장하는데 바로 ISP. 즉, 인터넷 서비스 제공자라는 것이다. 진화 과정은 아래와 같다.
결국 ISP라는 건 멀리 있는 누군가와 정보를 주고받고 싶어서 인터넷이라는 커뮤니티에 접근하고 싶어 하는 사람들에게 돈을 받고 자기가 가지고 있는 노드와 다른 회사의 노드들과 협력해 정보를 대신 주고받는 역할을 하는 사업체를 의미한다. 덕분에 사용자는 복잡한 커뮤니티 가입 절차라던지 내가 원하는 정보를 전달해줄 노드를 관리하지 않고도 인터넷이라는 커뮤니티에 가입한 사람들과 소통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처럼 현재의 인터넷은 알파넷을 거쳐 상업적 목적의 네트워크가 됐다.
5. 아니 망 중립성이 강제가 아니였어 ?
사실 나는 '망 중립성'이라는게 '자유와 평등'의 맥락에서 나온 줄 알고 있었다. 어쨌든 정보를 접할 수 있는 권리라는 건 인간의 자유와 평등에 큰 기반이라고 생각이라는 생각 때문인데 때문에 이번 이슈를 접했을때도 "뭐지 ..? 망 중립성 때문에 저렇게 하면 안되는 거 아닌가? 기업은 사람이 아니라 예외인건가?"라는 생각을 했었다. 근데 알고보니 애초에 망 중립성에 대한 강제성은 나라마다 다른 부분이었고 이 개념이 나온 배경도 인권 같은게 아니라 그냥 "인터넷의 성장과 발전"을 위해서였다고 한다.
뭔가 눈빛이 또렷한게 엮이면 위험할 거 같은 기분이다. (농담) 어쨌든 이 분이 2003년에 컬럼비아 대학의 법학 교수로 있을 때 처음 도입한 용어라고 한다. (but, 정확한 레퍼런스 없음) 그래서 결론은 한국의 경우 '망 중립성'이 강제가 아니고 법리적으로 다툴 수 있는 부분이기에 CP(Contents Provider)들과 국내 ISP(InternetServiceProvider: LG, SKT ..)들의 망 사용료 관련 논쟁이 계속있어왔고 그 결과로 이번에 트위치가 한국 사업을 철수하게 된 것이다.
6. 근데 왜 돈을 내라고해?
그래 그럼 법적으론 문제 없다고 치더라도 도대체 왜 침착맨이 있을 정도로 대형 플랫폼이 국내사업 철수할 정도로 돈을 많이 내라고 한 걸까? 국내 통신사(ISP)가 무슨 삼류 무협만화 산적도 아니고 그냥 돈 더 벌고 싶어서는 아닐거고 "전선에 구리대신 금을 깔아놓은게 소문나서 도굴꾼들이 죄다 도굴해가서 망을 새로 깔아야하는 게 아닌 이상 '망 유지비'가 그정도로 드나?"라는 생각이 들었다. 그래서 왜 망 유지하는데 돈이 필요한지 알아봤는데 아래 두 가지 이유였다.
1. 돈이 필요한 이유P1. 트위치같은 외국 서버에 데이터를 전달하려면 국제적인 수준의 1티어 ISP 업체들의 네트워크를 타도록 "부탁"을 해야함. 이 과정에서 비용이 발생하는데 이를 '트랜짓 비용'이라고 한다.
A1. 이 문제에 대한 임시처방으로 구글 같은 CP들은 국내에 "캐시 서버" 목적의 CDN을 설치해서 ISP 업체들의 트랜짓 비용을 낮춰주려는 시도를 했음. 근데 이럼에도 이곳에서 비용이 많이 발생하는 듯
------------------------------------------------------
P2. 국내 ISP(통신 3사) 사이에도 서로의 노드를 많이 사용할수록 돈을 내도록 되어있어서 자기와 계약한 CP가 많은 트래픽을 몰고올수록 다른 통신사에 돈을 하는 구조.
A2. 근데 그렇다고 하더라도 쌤쌤아닌가? 저 정도로 많이 낼 정도로 노드가 얽히고 섥혔으면 다른 ISP도 자회사 노드를 많이 탈 거 같은디 .. 뭐 어쨌든
그래서 위 이유로 발생하는 비용을 충당하기 위해 '망 사용료'라는 걸 많이 받으려고 하는 걸로 이해했다.
7. 이 문제를 기술적으로 풀려면 어떻게 해야할까?
0. 이 문제의 요점은 기술이 아니야 ..내가 이해하기론 이 문제의 요점은 기술이 아닌 거 같다. 하나의 기업에서 기술적인 시도를 통해 해결하기에는 이미 너무도 방대하고 복잡한 이해관계가 얽혀있는 거 같아 이런 생각을 했는데, 그렇다고 하더라도 개발자 입장에서 어떤 해결책을 내놓을 수 있을지 10분만 고민해보기로 했다.
1. 기타 등등 .. 해결법들그냥 딱 드는 생각은 CDN 서버 더 만들거나 트랜짓 관련 비용 유리하게 협상한다던지, 데이터 압축이나 최적화를 시도한다던지 .. 아예 스트리밍 화질을 낮추는 방법정도인데, 사실 내가 지금 고민해서 뾰족한 수가 있는 거였으면 진즉에 빅테크 기업에서 했을거라는 인사이트를 얻었다.
8. 아니 근데 클라우드 서비스는 괜찮어?
0. 문뜩 든 의문Q. 근데 만약에 AWS를 이용해서 내 서비스를 배포했을 때 거기서 트래픽이 미친듯이 나오면 국내 통신사는 나한테 돈 내라고 해야하는건가? 아니면 AWS한테 내라고 해야 하는건가? (버지니아 리전, 서울 리전일 때 다르나? 리전별로 ISP를 별도로 계약한건가?)
A. 망 접속을 위한 IP를 AWS가 자체적으로 관리해줘서 그냥 AWS가 ISP 서비스도 제공해주는 느낌인 거 같은데 정확히 이해가 안된다. 일단 기억해두고 나중에 알아보기로 했다.
오늘 하루도 공부할 수 있어 크게 감사합니다
2023-12-17 개발자 최찬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