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트워크

[네트워크] 프로토콜

무자비한 낭만주먹 2024. 1. 9. 22:46

[그림1]. 오늘도 감사한 공부 시작 ~

목차
0. 개요
1. 프로토콜이 모야?
2.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사례: TCP/IP

 

 

0. 개요
a. 프로토콜은 약속
프로토콜은 '약속'이다. 라는게 프로토콜에 대해서 처음 공부한 뒤 부터 이어져온 내 생각이다. 근데 사실 이 정도로만 이해하고 있어도 될 거 같은데, 이 부분에 대해서 설명을 해야할 거 같아서 혹시 몰라 다시 공부해보려한다.

 

 

1. 프로토콜이 모야?
a. 네트워크에서의 프로토콜
네트워크에서 프로토콜이란 표현은 데이터 전송을 위한 형식을 결정하고 처리하기 위한 규칙들입니다.
- AWS 피셜 -


- 공통 언어? 이진 코드로 변환되나? 결국 전기 신호?
- 근데 이건 컴퓨터가 이해하는 언어로 변환이 목적이 아니라 결국 사람이 이해하는 언어로의 변환이 목적 아닌가?
- 그건 웹 개발자 관점
- 애플리케이션 레벨 아니더라도 다른 계층과 소통등의 다양한 목적을 위해 사용할 수 있음
- 결국 각 계층마다 프로토콜이 따로 있는 이유도 이게 이유, 

- 결국 그냥 '모든 네트워크의 구성 요소들사이의 통신을 위해 형식화된 언어?가 프로토콜이다.'

Q. PDU도 그럼 Protocol Data Unit인가?
A. (protocol data unit)맞음..

그럼 결국 그냥 모든 네트워크 요소 사이의 소통을 위한 '형식화된 언어 구조'가 프로토콜 맞네.


| b. 프로토콜이 필요한 이유

[그림2]. 개성이 강한 네트워크의 요소들
자아가 강하고 개성이 뚜렷한 수 많은 네트워크 요소들 사이의 통신을 위해선 약속된 언어가 필요하다.


네트워크 안의 수많은 요소들은 다양한 스펙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이들에게 일관적인 통신을 보장하기 위해선 미리 약속된 '공통의 언어'가 필요하다. 그래서 '프로토콜'이라는 개념을 이용해 '약속된 공통의 언어'를 규정이 필요한 것이다.

 

2.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사례: TCP/IP

 

TCP/IP 4계층


- 애플리케이션 계층: HTTP 등 ..     [PDU: message(text)]
- 전송계층: TCP/UDP                    [PDU: segment, datagram]
- 인터넷계층:  ARP 등..                  [PDU: IP]
- 데이터엑세스 계층:  이더넷 등 ..    [PDU:  프레임..]


: 이런 식으로 각 계층별로 '약속된 언어 형식'이 존재(프로토콜)하기 때문에 다양한 스펙에 상관 없이 모두 통신할 수 있게 된다. ~

 

 

오늘 하루도 공부할 수 있어 크게 감사합니다

2024-01-09 개발자 최찬혁